본문 바로가기
중환자의학

UWS, 불응성 각성 증후군이란?

by 비비닥 2025. 6. 2.

의료 현장에서 환자가 눈을 뜨고 있으나 외부 자극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 상태를 종종 보게 됩니다. 겉으로 보기엔 깨어있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의식이 없는 상태죠. 이러한 상태를 의학적으로 불응성 각성 증후군(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UWS) 또는 이전 명칭인 식물인간 상태(Vegetative State)라고 부릅니다. 🧠🌱

UWS, 불응성 각성 증후군이란?


UWS(불응성 각성 증후군)란?

Unresponsive Wakefulness Syndrome (UWS)는 뇌손상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나도 의식 회복이 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태의 핵심은:

  • 눈을 자발적으로 뜰 수는 있음 👀
  • 하지만 인지적 반응, 의사소통, 명령 수행이 없음
  • 수면-각성 주기는 존재함 (즉, 눈을 감았다 떴다 하거나 낮밤의 리듬은 있음)

즉, 깨어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뇌의 인지 기능은 거의 또는 전혀 작동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UWS와 혼수상태, 최소 의식 상태의 차이

구분 눈 뜨기 자극 반응 명령 수행 의사소통 예시 표현
혼수(Coma)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완전히 무의식 상태
불응성 각성 증후군(UWS) ✅ 있음 ❌ 없음 ❌ 없음 ❌ 없음 눈은 뜨나 반응 없음
최소 의식 상태(MCS) ✅ 있음 ✅ 있음 ✅ 제한적 ✅ 간헐적 간단한 명령 수행 가능

💡 참고로, 2010년 유럽신경과학회에서 ‘Vegetative State’라는 용어가 비인간적이라는 비판에 따라 ‘UWS’로 공식 변경되었습니다.


원인은 무엇일까?

UWS는 대개 심한 뇌손상 후에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심정지 후 저산소성 뇌손상 (가장 흔함)
  • 외상성 뇌손상 (교통사고 등)
  • 뇌출혈, 뇌경색
  • 약물 중독이나 대사성 혼수 상태 후 회복 지연

이들 사건은 대뇌의 광범위한 손상을 유발하며, 특히 시상과 대뇌 피질 간의 연결이 손상될 경우 의식의 표현이 불가능해집니다.


진단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의학적으로는 임상 관찰과 신경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진단합니다. 다음은 진단의 핵심 요소입니다:

  • 눈은 자발적으로 뜨나, 시선 고정이 안 됨
  • 언어, 명령, 통증 등에 전혀 반응하지 않음
  • 수면-각성 주기 존재 확인 (EEG 등으로)
  • 의식 수준에 대한 지속적 평가 (GCS, CRS-R)

🧪 보조검사로는 뇌파(EEG), 기능적 MRI, PET 촬영 등을 통해 대뇌 활동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후는 어떤가요?

UWS의 예후는 상태의 원인과 지속 기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상태 유지 기간 원인이 저산소성 뇌손상일 때 외상성 뇌손상일 때
1개월 이내 회복 가능성 일부 있음 회복 가능성 비교적 높음
3~6개월 이상 회복 가능성 매우 낮음 일부 회복 사례 존재

즉, UWS가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영구적인 UWS(Permanent UWS)"로 간주하며, 회복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봅니다. 하지만, 일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는 수개월 뒤에도 의식이 회복된 사례도 있습니다(Naccache, Lancet Neurology, 2022).


가족과의 소통, 어떻게 해야 할까요? 💬

UWS 환자의 가족은 종종 “눈을 떴어요! 이젠 괜찮은 건가요?”라는 질문을 합니다. 이때 의료진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눈을 뜨는 기능은 뇌간에서 담당하는 기본 기능이며, 인지나 감정의 표현과는 다릅니다. 현재 상태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있어 의식 회복은 아직 불분명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설명은 희망을 품되, 현실적인 예후 인식을 돕는 데 중요합니다.


Q&A: UWS에 대해 궁금한 5가지

Q1. UWS와 식물인간 상태는 같은 건가요?
A1. 네, 같은 상태를 지칭하지만 UWS는 더 중립적인 표현입니다.

Q2. 눈을 뜨고 있는데 의식이 없을 수 있나요?
A2. 그렇습니다. 뇌간은 작동하나 대뇌의 인지 기능이 손상된 상태입니다.

Q3. 언제쯤 회복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나요?
A3. 보통 1~3개월의 경과를 관찰하며, 그 기간 동안 변화가 없다면 예후가 불량합니다.

Q4. 말을 하지 않더라도 의식을 알아볼 방법은 없나요?
A4. 기능적 MRI나 EEG에서 인지 반응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화하긴 어렵습니다.

Q5. UWS 환자는 고통을 느낄까요?
A5. 일반적으로 의식이 없기 때문에 통증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다만, 윤리적으로는 가능한 안정을 제공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