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이나 수술실에서 빠르고 안정적으로 환자를 마취시키는 약물 중 하나가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Etomidate Lipuro Inj.)입니다. 특히 심혈관계 부담이 적고, 빠른 작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많이 쓰이는데요. 오늘은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가 어떤 약인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부작용과 주의사항은 무엇인지 쉽고 정확하게 안내해드릴게요 🩺😊
🧪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란?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는 마취 유도제로 사용되는 에토미데이트(etomidate)의 지질 유탁형 제형입니다. 기존 에토미데이트 주사제보다 통증이 적고, 주사 부위 자극이 덜한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은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제품명: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 (Etomidate Lipuro Inj.)
- 성분: 에토미데이트 2mg/mL
- 형태: 지질 유탁액 (백탁 액상)
- 투여 경로: 정맥주사 (IV)
✅ 주요 효능 및 적응증
적용 상황 | 설명 |
---|---|
전신마취 유도 | 수술 전 환자의 의식을 빠르게 없앰 |
응급 삽관 시 | 의식 있는 환자에게 기관삽관 시 사용 |
중환자 진정 | 짧은 작용시간이 필요한 경우 사용 |
심혈관 질환자 마취 | 혈압과 심박수에 미치는 영향이 적음 |
📌 특징: 심혈관 기능이 불안정한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응급의학과·중환자의학과에서 선호됩니다.
⏱️ 작용 시간 및 약동학
- 작용 개시: 정맥 주사 후 약 30~60초
- 최대 효과: 1~2분 이내
- 지속 시간: 약 3~10분
- 대사 경로: 간 및 혈중 에스터효소에 의해 대사
- 배출: 주로 소변을 통해 배설
💉 용법·용량
구분 | 성인 기준 투여량 | 주의사항 |
---|---|---|
마취 유도 | 0.2~0.3 mg/kg | 천천히 IV 주입 (30~60초 이상) |
진정 유지 | 필요 시 소량 반복투여 또는 TIVA | 호흡 및 혈압 모니터링 필수 |
🧪 예시: 체중 70kg 성인 기준, 약 14
21mg (약 7
10.5mL) 사용
⚠️ 주의사항 및 부작용
부작용 | 설명 |
---|---|
부신 기능 억제 | 일시적으로 코르티솔 분비 감소 (장기 사용 시 주의) |
주사 부위 통증 | 리푸로 제형은 일반 제형보다 현저히 적음 |
근육 경련, 하품 | 투여 중 또는 직후 나타날 수 있음 |
호흡억제, 저혈압 | 과량 또는 고령자 투여 시 주의 필요 |
❗ 특히 패혈증이나 중증 환자에서 반복 투여 시 부신 억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단일 투여가 원칙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1.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는 마취제인가요?
A1. 네, 정맥 마취 유도제입니다. 빠르게 환자를 수면상태로 유도하는 데 사용됩니다.
Q2.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나요?
A2. 아니요.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전문의가 병원 내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Q3. 기존 에토미데이트와 차이점은 뭔가요?
A3. 리푸로주는 지질 유탁형 제형으로, 주사 부위 통증과 정맥 자극이 적은 개선형 약물입니다.
Q4. 반복 투여해도 되나요?
A4. 권장되지 않습니다. 부신 억제 등의 문제가 있어, 가급적 단회 투여가 원칙입니다.
Q5. 어린이에게도 사용할 수 있나요?
A5. 일부 소아 수술에서도 사용되지만, 연령 및 체중에 맞는 용량 조절과 전문의 판단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T와 ALT의 차이점: 혈액검사로 보는 간 건강 신호 (1) | 2025.06.08 |
---|---|
프로포폴 투여 용량 정리: 마취부터 진정까지 정확한 기준 (0) | 2025.06.07 |
UWS, 불응성 각성 증후군이란? (0) | 2025.06.02 |
중환자실의 환자 소변량이 중요한 이유 (0) | 2025.06.02 |
케타민, 진정제일까? 진통제일까? 둘 다일까?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