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성 상심실성 빈맥(SVT, Supraventricular Tachycardia)은 심방 또는 방실 결절(AV node)에서 발생하는 빠른 빈맥(>150 bpm 이상)으로, 심한 경우 어지럼증, 실신, 심부전 악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SVT 치료에는 급성기 치료(발작 중 재발작 차단)와 장기 관리(재발 예방)를 위한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SVT에서 사용하는 모든 약물과 치료 전략을 정리하겠습니다.

1. SVT 치료의 핵심 원칙 🎯
✅ 1)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경우 (저혈압, 쇼크, 심부전 동반) → 즉시 전기적 심율동전환(50~100J)
✅ 2)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경우 → 미주신경 자극(Vagal Maneuver) + 약물 치료
✅ 3) 재발 예방을 위한 장기 치료 고려 (빈번한 SVT 발생 시)
2. SVT에서 사용되는 약물 총정리 💊
📌 1) 급성기 치료: 발작 중 심박수 조절 및 리듬 전환
| 약물 | 주요 기전 | 1차 선택 여부 | 사용법 및 주의사항 |
| 아데노신(Adenosine) | AV node 차단 → 재진입 회로 차단 | ✅ (1차 선택) | 6mg IV bolus → 필요 시 12mg IV 반복 (최대 2회) |
| 베타 차단제 (Esmolol, Metoprolol, Propranolol) | 교감신경 차단 → AV node 전도 감소 | ✅ (2차 선택) | Esmolol 500mcg/kg IV bolus 후 유지 |
| 칼슘채널 차단제 (Diltiazem, Verapamil) | AV node 전도 차단 | ✅ (2차 선택) | Diltiazem 15 |
| 아미오다론(Amiodarone) | K⁺ 차단 → 리듬 조절 | ❌ (SVT에서는 1차 약물 아님) | 150mg IV over 10 min 후 유지 |
| 디곡신(Digoxin) | 부교감신경 자극 → AV node 억제 | ❌ (급성기 사용 거의 안 함) | 0.25mg IV, 2~6시간마다 (최대 1.5mg/day) |
💡 아데노신(Adenosine)은 AVNRT(방실결절 회귀성 빈맥)에서 1차 선택!
💡 Diltiazem, Verapamil(칼슘채널 차단제)은 HFrEF 환자에서 금기!
📌 2) 장기 치료: 재발 예방 (SVT 빈번한 경우 고려)
| 약물 | 주요 기전 | 1차 선택 여부 | 사용법 및 주의사항 |
| 베타 차단제 (Bisoprolol, Metoprolol, Propranolol) | 교감신경 차단 | ✅ (1차 선택) | Bisoprolol 2.5~10mg PO QD |
| 칼슘채널 차단제 (Diltiazem, Verapamil) | AV node 전도 차단 | ✅ (1차 선택) | Diltiazem 120~360mg/day PO |
| 항부정맥제 (Flecainide, Propafenone, Amiodarone, Sotalol) | Na⁺, K⁺ 차단 → 리듬 조절 | ✅ (리듬 조절 필요 시) | Flecainide 50 |
| Catheter Ablation (전극도자 절제술) | 재진입 회로 제거 | ✅ (약물 실패 시) | AVNRT, WPW 증후군에서 효과적 |
💡 베타 차단제 및 칼슘채널 차단제는 장기 치료의 1차 선택 약물
💡 Flecainide, Propafenone은 WPW 증후군에서 단독 사용 금기!
3. SVT 치료 전략: 상황별 약물 선택 가이드 🏥
✅ 1) 급성기 치료 (발작 중)
✔ 혈역학적으로 불안정 (BP <90/60, 쇼크, 심부전)
- 즉시 전기적 심율동전환 (Synchronized Cardioversion, 50~100J)
✔ 혈역학적으로 안정적 (BP 유지, 의식 정상)
- 미주신경 자극 (Valsalva maneuver, Carotid massage)
- 아데노신(Adenosine) 6mg IV → 필요 시 12mg IV 추가
- 베타 차단제(Esmolol, Metoprolol) 또는 CCB(Diltiazem, Verapamil) IV 사용
- 효과 없으면 Amiodarone 고려 (특히 구조적 심질환 동반 시)
✅ 2) 장기 치료 (재발 예방)
✔ SVT이 가끔 발생하며 증상이 심하지 않음
- 미주신경 자극 교육 (환자가 자가 조절 가능)
- 필요 시 PRN 용도로 베타 차단제 또는 CCB 사용
✔ SVT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일상생활에 영향
- 베타 차단제(Bisoprolol, Metoprolol) 또는 CCB(Diltiazem, Verapamil) PO 유지
- 리듬 조절 필요 시 Flecainide, Propafenone, Sotalol 고려
✔ 약물 치료 실패 또는 WPW 증후군 동반 시
-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 시행 고려
4. SVT에서 주의해야 할 약물 및 금기사항 ⚠
✅ 1) WPW 증후군에서 금기 약물
❌ AV node 차단제 (Adenosine, Beta-blockers, CCB, Digoxin) 사용 금지!
- 보조 전도 경로(accessory pathway)를 통해 심실로 직접 신호 전달 → 심실세동(VF) 위험 증가
- 1차 선택: Procainamide 또는 Amiodarone
✅ 2) HFrEF(박출률 저하 심부전)에서 금기 약물
❌ Diltiazem, Verapamil (비디히드로피리딘 CCB) 금기
- 심근 수축력 저하로 심부전 악화 위험
5. SVT 치료 Q&A 💡
Q1. SVT 발작 중 가장 먼저 사용할 약물은?
A. 아데노신(Adenosine) 6mg IV bolus가 1차 선택 약물입니다.
Q2. 베타 차단제와 CCB 중 어느 것이 더 좋은가요?
A. 심부전이 없는 경우 둘 다 사용 가능하나, 심부전(HFrEF) 동반 시 CCB(Diltiazem, Verapamil)는 금기입니다.
Q3. SVT 재발 예방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약물은?
A. 베타 차단제(Bisoprolol, Metoprolol) 또는 CCB(Diltiazem, Verapamil)입니다.
Q4. SVT에서 리듬 조절이 필요한 경우 언제 항부정맥제를 사용하나요?
A. SVT이 빈번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Flecainide, Propafenone, Sotalol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Q5. 전극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은 언제 고려하나요?
A. 약물 치료에 반응이 없거나 WPW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 절제술을 고려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계 환기 중인 환자에서 레미펜타닐의 장점과 용량별 효과 (0) | 2025.03.18 |
|---|---|
| 마그네슘이 Torsades de Pointes(TdP)를 치료하는 원리 (0) | 2025.03.17 |
| 심부전이 동반된 심방세동(AF) + 빠른 심실 반응(RVR) 조절 방법 (0) | 2025.03.17 |
| 심방세동에서 디곡신의 작용 기전과 아미오다론과의 차이점 (0) | 2025.03.17 |
| Torsades de Pointes(TdP)란? 왜 발생할까? 치료 약물은?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