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포폴(Propofol)은 빠른 진정(sedation) 및 마취 유도에 사용되는 정맥 주사용 약물입니다. 강력한 진정 효과와 신속한 회복이 가능해 수술, 진정 치료, 기계 환기 중인 중환자 관리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일부 부작용과 오·남용 위험이 있어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 프로포폴의 주요 장점
1️⃣ 빠른 작용과 짧은 반감기 ⏳
- 정맥 투여 후 30~40초 내에 효과 발현
- 반감기가 짧아(2~4분) 투여 중단 시 빠르게 회복 가능
- 수술, 시술 후 환자가 빠르게 의식을 회복하여 입원 시간이 단축됨
2️⃣ 진정과 마취 유도가 용이 💉
- 용량에 따라 가벼운 진정부터 깊은 전신 마취까지 조절 가능
- 내시경, 치과 시술, MRI 검사 등에서 진정 목적으로 사용 가능
- 외과 수술 시 빠르고 안정적인 마취 유도
3️⃣ 항구토 효과(오심·구토 예방) 🤢🚫
- 항구토(antiemetic) 작용이 있어, 수술 후 구역·구토가 적음
- 특히 항암 치료 후 오심 완화에도 사용될 수 있음
4️⃣ 저혈압 및 기관지 확장 효과 🫁
-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고혈압 환자에게 유리
-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천식 환자에서도 사용 가능
5️⃣ 축적 효과가 적어 장기간 사용 가능 🔄
- 다른 마취제(예: 벤조디아제핀)보다 체내 축적이 적음
- 기계 환기 중인 중환자에서 지속적 진정 유지에 유리
❌ 프로포폴의 주요 부작용
1️⃣ 저혈압 및 심혈관계 부작용 ⬇💓
- 말초 혈관 확장으로 인해 저혈압 발생 위험
- 고용량 사용 시 심박수 감소(서맥), 심장 기능 저하 가능
- 노인, 저혈압 환자에서 주의 필요
2️⃣ 호흡 억제 🫁🚨
- 고용량 사용 시 호흡 억제(무호흡) 발생 가능
- 기도 반사가 억제되어 기도 폐쇄 위험 증가
- 산소 공급 및 기도 유지가 필수, 무호흡 위험이 높은 경우 기계 환기 필요
3️⃣ 주사 부위 통증 💉🔥
- 정맥 주사 시 주사 부위에 타는 듯한 통증이 흔함
- 이를 줄이기 위해 리도카인(lidocaine)과 혼합하여 사용 가능
4️⃣ 장기간 사용 시 프로포폴 주입 증후군(PRIS) ⚠
- 드물지만 치명적일 수 있는 합병증
- 대사성 산증, 고칼륨혈증, 심부전, 근육 괴사, 신부전 등을 유발
- 주로 중환자실에서 고용량(>4mg/kg/hr)으로 48시간 이상 지속 주입 시 발생
5️⃣ 중독 및 오남용 위험 🚨
- "우유 주사"라는 이름으로 불법 오남용 사례 발생
- 기분 좋은 진정 효과로 인해 수면제 대용으로 남용 위험
- 과다 사용 시 호흡 정지 및 사망 위험
🎯 프로포폴의 장점 vs. 부작용 비교
| 구분 | 장점 😊 | 부작용 ⚠ |
| 작용 속도 | 빠른 효과 발현(30~40초 내) | 짧은 반감기로 인해 지속적 주입 필요 |
| 회복 속도 | 투여 중단 시 빠른 의식 회복 | 단시간 작용으로 추가 투여 필요 |
| 진정·마취 효과 | 다양한 용량 조절 가능 | 고용량 시 호흡 억제 및 무호흡 발생 |
| 부작용 관련 | 항구토 효과 | 저혈압, 서맥 위험 |
| 장기 사용 | 축적 효과 적음, 중환자에서도 사용 가능 | 장기간 사용 시 PRIS 위험 |
| 기타 | 기관지 확장 효과(천식 환자 가능) | 주사 부위 통증 발생 |
🏥 프로포폴 안전 사용을 위한 주의점
✅ 반드시 의료진 감독하에 투여(자가 투여 금지!)
✅ 저혈압, 호흡 억제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는 감량 투여
✅ 장기간 사용 시 PRIS 발생 여부 모니터링
✅ 주사 시 통증 완화를 위해 리도카인 혼합 사용 고려
✅ 오남용 예방을 위해 의료기관 외 사용 제한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eizure vs. Shivering, 어떻게 구분할까? (0) | 2025.03.18 |
|---|---|
|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벤조디아제핀 약물 정리 (0) | 2025.03.18 |
| 기계 환기 중인 환자에서 레미펜타닐의 장점과 용량별 효과 (0) | 2025.03.18 |
| 마그네슘이 Torsades de Pointes(TdP)를 치료하는 원리 (0) | 2025.03.17 |
| SVT(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약물 총정리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