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VT with Pulse의 치료 알고리즘: 안정성과 증상에 따른 접근

비비닥 2025. 4. 18. 13:55
반응형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은 심실에서 기원한 빠른 심장 리듬으로, 심박출량 감소 및 심정지로 진행할 수 있는 위험한 부정맥입니다. VT 중에서도 “VT with pulse”는 맥박이 유지된 상태로,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 치료 개입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성 여부에 따라 치료 전략이 크게 달라지므로, 정확한 판단과 신속한 치료가 핵심입니다. ⚡🫀


1. VT with Pulse란?

  • 심실빈맥(VT) 중 맥박이 존재하는 상태
  • 심박수는 보통 100~250회/분
  • ECG 상 wide QRS(>120ms), 규칙적인 리듬
  • 단일형(monmorphic) 혹은 다형성(polymorphic)으로 나뉨

2. 치료 접근의 핵심: 혈역학적 안정성 평가

✅ 안정성 판단 요소:

지표 불안정 징후
의식 수준 혼미, 의식소실
혈압 SBP < 90 mmHg
심박출량 냉한 피부, 청색증, 말초 저관류
흉통 지속적 협심증
호흡 상태 호흡곤란, 폐부종

💡 불안정하면 즉시 전기적 치료, 안정하면 약물 요법 우선!


3. VT with Pulse 치료 알고리즘 🩺

[1] 불안정한 VT with pulse

➡️ 즉시 동기화된 전기 심율동 전환 (Synchronized Cardioversion)

약물 보조 설명
진정제 사용 가능 Midazolam, Etomidate 등 (가능 시)
에너지량 단일형: 100J부터 시작, 점진적 증가 가능
이후 관리 원인 평가 + 재발 예방 (ICD, 약물 등)

[2] 혈역학적으로 안정한 VT with pulse

➡️ 항부정맥제 약물 투여

약물 용량 비고
아미오다론 IV 150mg over 10분 → 1mg/min (6시간) → 0.5mg/min (18시간) 1차 선택약
프로카이나마이드 IV 20–50mg/min (max 17mg/kg), 유지용량 1–4mg/min QT 연장 주의
소탈롤 IV 1.5mg/kg over 5분 QT prolongation 위험
리도카인 IV 1–1.5mg/kg bolus, 유지 1–4mg/min MI 관련 VT에서 고려

📌 기저 심장질환, 심근경색 병력, EF 저하 여부에 따라 약물 선택 달라질 수 있음


[3] 약물 반응 없음 or 재발성 VT

  • 전기적 심율동 전환 고려
  • 항부정맥제 변경 또는 병합
  • 심장 전문의 컨설트, 전극도자절제술(ablation) 고려
  • ICD 삽입 평가

4. 원인 교정도 함께! 🛠️

교정 가능한 원인(Hs & Ts) 예시
Hypoxia 산소 공급
Hypovolemia 수액 공급
Hypo/hyperkalemia 전해질 보정
Hydrogen ion (Acidosis) ABGA 평가 및 교정
Toxins 약물 중독 여부 확인
Tamponade 심장초음파 필수
Tension pneumothorax 즉시 감압
Thrombosis (MI, PE) 응급 중재술 고려

5. VT 유형에 따른 추가 고려 사항

  • 단일형 VT (Monomorphic VT): 안정 시 약물치료 효과 좋음
  • 다형성 VT (Polymorphic VT): 불안정할 경우 즉시 제세동, QT 연장형이면 마그네슘 투여 고려
  • Torsades de Pointes: Mg sulfate 1~2g IV over 15min

Q&A: VT with Pulse 관련 궁금증

Q1. 안정한 VT 환자에게 바로 제세동하면 안 되나요?
A. 안정한 환자에게는 먼저 항부정맥제를 시도, 실패 시 전기 치료를 시행합니다.

Q2. 아미오다론은 안전한가요?
A. 심기능 저하 환자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비교적 안전하나, 간기능, 폐섬유화 등 장기 부작용 주의가 필요합니다.

Q3. 마그네슘은 언제 사용하나요?
A. QT 연장 동반한 다형성 VT (torsades)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Q4. 제세동과 동기화 심율동 전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동기화는 QRS 파형과 동기화하여 시행하며, 맥박 있는 VT에 사용됩니다.
제세동은 무맥성 VT/VF에서 사용합니다.

Q5. ICD는 언제 고려하나요?
A. 반복성 VT, 심실 기능 저하, 심장질환 병력 있는 환자에서 재발 방지용으로 삽입 고려합니다.


참고 문헌

  • AHA ACLS Guidelines (2020, 2023 Update)
  •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9th ed.
  • UpToDate: Management of stable VT
  • 대한부정맥학회 진료지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