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지도 어느덧 몇 년이 지났습니다.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면서 중증화율과 사망률은 크게 낮아졌지만, 여전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진화 중입니다. 그런데 최근엔 “치료제도 내성이 생기는 거 아니야?”라는 질문이 많아졌는데요. 정말 그럴 수 있을까요? 오늘은 코로나19 치료제에도 ‘내성’이 생길 수 있는지, 그리고 그에 대한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

🔍 내성이란 무엇인가요?
‘약물 내성(drug resistance)’이란, 바이러스나 세균이 치료제의 작용을 회피하거나 무력화시키는 능력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항생제 내성을 가진 슈퍼박테리아가 있죠.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로, 유전자 변이를 통해 약물에 덜 민감하거나 반응하지 않게 될 수 있습니다. 이게 바로 치료제 내성의 원리입니다.
💊 코로나19 치료제 종류와 작용 방식
| 치료제 | 성분명 | 작용 기전 | 경로 |
|---|---|---|---|
| Paxlovid | Nirmatrelvir + Ritonavir | 바이러스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 경구 |
| Remdesivir | 렘데시비르 | 바이러스 RNA 복제 억제 | 주사 |
| Molnupiravir | 몰누피라비르 | 오류 유도 복제 억제 | 경구 |
이 중 Paxlovid는 가장 널리 쓰이는 경구 치료제입니다. Nirmatrelvir가 주요 성분이며, 3CL protease라는 효소를 억제해 바이러스 복제를 막습니다.
⚠️ 치료제 내성, 실제로 생길 수 있을까?
📌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 미국 FDA와 WHO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고속으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입니다.
- Paxlovid 사용 후, 특정 돌연변이(예: M49I, A173V 등)가 3CL protease에 대한 감수성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가 다수 발표되었습니다.
(출처: Nature Microbiology, 2023)
📌 실제 내성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요.
- 2023년 말부터 일부 국가에서는 Paxlovid 투여 후에도 회복되지 않거나, 재양성(Rebound) 되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 미국 CDC는 내성 돌연변이의 출현 가능성에 대해 경고하며, 치료제의 무분별한 사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내성을 막기 위한 전략은?
- 적절한 환자에게만 사용
- 고위험군(고령자, 기저질환자 등) 중심으로 제한 사용
- 용량과 기간 준수
- Paxlovid는 5일간 복용이 원칙이며, 임의 연장 또는 중단은 내성 위험 증가
- 다중 치료제 병용 연구
- 단일 약제보다 2가지 이상의 작용 기전을 가진 약물을 병용할 경우 내성 억제 효과 있음
(출처: NEJM, 2024. "Combination antiviral therapy in SARS-CoV-2")
🧠 내성보다 더 중요한 '지속 감시'
내성이 당장 널리 퍼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 세계적으로 치료제 사용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바이러스 유전자 감시와 변이 분석이 중요합니다. 특히 면역저하자나 장기 감염자에게서는 바이러스가 오래 머물며 변이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치료제 사용 후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도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Paxlovid를 복용했는데도 재확진되는 건 내성인가요?
A1. 반드시 내성 때문은 아니며, 일시적 바이러스 반등(Rebound)이 대부분입니다. 다만, 일부는 내성 돌연변이 가능성도 있습니다.
Q2. 예방적 차원에서 Paxlovid를 복용해도 될까요?
A2. 아닙니다. 예방 목적 사용은 권장되지 않으며, 필요 시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Q3. 백신 접종과 내성 발생은 관련이 있나요?
A3. 백신은 내성을 줄이거나 유발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바이러스 확산 자체를 줄여 내성 돌연변이 출현 가능성을 낮춥니다.
Q4. 내성 생긴 바이러스에 다른 약은 효과 있나요?
A4. 일부 내성 돌연변이는 특정 치료제에만 영향을 미치며, 다른 작용 기전의 약물은 여전히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Q5. 향후 치료제는 내성 고려해서 개발되나요?
A5. 맞습니다. 현재는 광범위 항바이러스제와 다중 표적 약물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봄철 해산물, 알고 먹어야 안전합니다 (0) | 2025.04.21 |
|---|---|
| 어린이집에서 조심해야 할 봄철 감염병 TOP 5 (0) | 2025.04.21 |
| 경증 코로나인데 렘데시비르 꼭 맞아야 하나요? (0) | 2025.04.21 |
| 피로가 병이 되는 순간, 만성피로증후군 총정리 (0) | 2025.04.21 |
| MCA 폐색 후 혈압은 얼마나 유지해야 할까?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