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tapenem과 Meropenem은 모두 카바페넴 계열의 광범위 항생제입니다.
하지만 이 두 약물은 항균 스펙트럼, 투여 간격, 임상 적용 범위에서 차이를 보이며, 임상에서 어떤 약을 사용할지 판단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Ertapenem과 Meropenem의 항균력 차이와 경험적 요법(empiric therapy)으로서의 사용 측면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 항균력 비교
항균 범주 | Ertapenem | Meropenem |
---|---|---|
그람양성균 (G+) | 대부분 커버 | 대부분 커버 |
그람음성균 (G−) | 대부분 커버 | 대부분 커버 |
Pseudomonas aeruginosa | ❌ 비활성 | ✅ 강력한 효과 |
Acinetobacter spp. | ❌ 비활성 | ✅ 효과 있음 |
혐기성균 (Bacteroides 포함) | ✅ 커버 | ✅ 커버 |
ESBL-producing bacteria | ✅ 커버 | ✅ 커버 |
📌 Meropenem은 Pseudomonas, Acinetobacter 등 병원 획득 감염에 더 강력한 효과가 있습니다.
💉 투여 및 약동학
항목 | Ertapenem | Meropenem |
---|---|---|
투여 간격 | 1일 1회 (IV/IM) | 하루 3회 (IV, 보통 q8hr) |
반감기 | 길다 (~4시간) | 짧다 (~1시간) |
투여 경로 | IV 또는 IM 가능 | IV 전용 |
단점 | PSA, Acinetobacter 미커버 | 자주 투여해야 함 |
🏥 경험적 요법에서의 적용 차이
상황 | Ertapenem 적합 여부 | Meropenem 적합 여부 |
---|---|---|
지역사회 획득 감염(CA) | ✅ 1차 선택 가능 | 가능 |
복강내 감염 (경증~중등도) | ✅ 효과적 | ✅ 효과적 |
요로감염(ESBL) | ✅ 매우 적합 | ✅ 가능 |
병원 획득 감염(HAI) | ❌ 부적합 (PSA 커버 안 됨) | ✅ 우선 사용됨 |
중증 감염 (패혈증, ICU) | ❌ 부족 | ✅ 경험적 요법 1선 |
📌 Ertapenem은 지역사회 감염에 적합,
📌 Meropenem은 병원 내 감염 및 중증 감염에 더 유리합니다.
🎯 선택 기준 요약
조건 | 추천 약제 |
---|---|
Pseudomonas 감염 의심 | Meropenem |
1일 1회 요법 원하는 외래 감염 | Ertapenem |
다제내성 감염 가능성 높은 중환자 | Meropenem |
ESBL에 의한 단순 요로감염 | Ertapenem |
패혈증 or 기관내 감염 | Meropenem |
❓ 자주 묻는 질문 (Q&A)
Q1. Ertapenem으로 치료 시작했는데, PSA가 나왔다면 어떻게 하나요?
→ Ertapenem은 PSA에 비활성이므로 Meropenem 등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Q2. Ertapenem은 왜 하루 한 번만 써도 되나요?
→ 반감기가 길고 조직 침투력이 좋아 1일 1회 투여가 충분합니다.
Q3. 지역사회 감염에서 Meropenem을 꼭 써야 하나요?
→ 꼭 그렇지 않습니다. PSA 가능성이 낮고 환자 상태가 안정적이라면 Ertapenem이 충분합니다.
Q4. 두 약물의 가격 차이는 어떤가요?
→ 지역과 병원에 따라 다르나, 보통 Meropenem이 더 고가이고 자주 투여해야 합니다.
Q5. Ertapenem IM 주사도 가능하다고 하던데요?
→ 맞습니다. 특히 외래 치료(Outpatient Parenteral Antibiotic Therapy, OPAT)에서 유용합니다.
'중환자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BL 양성 E. coli에 타조박탐/피페라실린이 효과 있을까? (0) | 2025.05.03 |
---|---|
혈소판 수혈 적응증 🩸 꼭 필요한 상황에서만, 정확하게! (0) | 2025.05.03 |
Meropenem Extended Infusion 💉 — 방법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은? (0) | 2025.05.03 |
신기능에 따른 Digoxin 용량 조절 가이드 (0) | 2025.04.29 |
VT with Pulse의 치료 알고리즘: 안정성과 증상에 따른 접근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