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치료에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기존의 증상 완화 중심에서 벗어나, 질병의 원인에 직접 접근하는 신약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중심에 있는 약물이 바로 레켐비(Leqembi, 성분명: 레카네맙)입니다. 🧠💊
2023년 미국 FDA의 정식 승인을 받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아온 이 치료제는 2025년 한국 시장에도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많은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 레카네맙(레켐비)이란?
레카네맙은 알츠하이머병의 핵심 병리인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을 제거하는 항체 기반 치료제입니다.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는 아밀로이드 베타가 과도하게 축적되어 신경세포를 손상시키는데, 레카네맙은 이 단백질에 결합하여 제거를 촉진하고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킵니다.
항목 | 내용 |
---|---|
제품명 | 레켐비 (Leqembi) |
성분명 | 레카네맙 (Lecanemab) |
개발사 | 일본 에자이(Eisai) & 미국 바이오젠(Biogen) |
작용 기전 | 아밀로이드 베타에 특이 결합하는 인간화 단일클론 항체 |
투여 방법 | 정맥주사(IV), 2주 간격 |
승인 연도 | 2023년 미국 FDA, 2024년 일본 |
국내 출시 예정 | 2025년 하반기 (보건복지부 협의 중) |
✅ 어떤 환자에게 사용되나요?
- 경도인지장애(MCI) 또는 경도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된 환자
- 아밀로이드 PET 검사 또는 CSF 검사에서 아밀로이드 양성 확인된 경우
- MRI상 큰 이상(출혈, 위축 등)이 없는 환자
💡 중요한 점: 진단 확정 및 선별검사(PET 또는 CSF)가 선행되어야 처방 가능합니다.
🔍 임상시험 결과는?
레카네맙은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인 CLARITY-AD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지표 | 결과 |
---|---|
인지 기능 저하 지연 | 위약 대비 약 27% 지연 (18개월 기준) |
기능적 독립성 유지 | ADL 점수 개선 |
아밀로이드 감소 확인 | PET 상 뇌 내 아밀로이드 유의미한 감소 |
출처: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3)
⚠️ 주의할 부작용은?
가장 주의할 부작용은 ARIA입니다.
- ARIA-E: 뇌부종
- ARIA-H: 미세 출혈, 점상 출혈
대부분은 무증상이지만, 일부 환자에서 두통, 혼돈, 경련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어 정기적인 MRI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국내 도입 시에도 ARIA 발생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가이드라인이 함께 도입될 예정입니다.
💰 가격과 보험 적용은?
미국에서는 연간 약 2,600만 원(26,500달러)로 책정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는 아직 보험 적용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보건복지부와 심평원의 검토 결과에 따라, 2025년 내 건강보험 적용 범위 및 환자 부담률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고령 환자 비율이 높은 한국에서 건보 적용 여부는 사용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국내 활용 전망
한국은 이미 아밀로이드 PET 검사 기반 진단 시스템이 일부 병원에 도입되어 있어,
레켐비 도입 시 선별 환자군에 대한 적용이 빠르게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발한 사용이 기대됩니다:
- 경도인지장애 단계의 조기 치료
- 치매 가족력 있는 고위험군 선별
- 알츠하이머 초기환자 대상 임상적 예후 개선
Q&A: 레켐비에 대해 궁금한 5가지
Q1. 레켐비는 치매를 완치하나요?
A1. 아닙니다. 완치는 아니며, 질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치료제입니다.
Q2. 모든 치매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나요?
A2. 아니요. 아밀로이드 베타가 축적된 알츠하이머 환자만 대상입니다.
Q3. 얼마나 자주 투여해야 하나요?
A3. 2주에 1회, 정맥 주사로 투여합니다.
Q4. 부작용이 무섭지 않나요?
A4. ARIA는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투여 전·후 MRI 모니터링으로 예방 가능합니다.
Q5.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나요?
A5. 2025년 하반기 국내 출시 예정이며, 보험 여부에 따라 실제 사용 시점이 결정될 것입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벨마비에서 스테로이드와 항바이러스제, 꼭 복용해야 할까? 최신 지견 정리 (0) | 2025.06.02 |
---|---|
벨마비(구안와사)의 진단과 치료, 한눈에 정리! (1) | 2025.06.02 |
2025년 기준, 치매 치료제의 최신 동향과 주요 약물들 (0) | 2025.06.02 |
치매를 진단하는 아밀로이드 PET CT란? (0) | 2025.06.02 |
뇌의 평가, 어떻게 할까? 구조적 vs 기능적 관점에서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