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공황 발작, 잠들지 못하는 밤, 혹은 간헐적인 경련이나 근육 경직으로 고생하고 계신가요? 이런 증상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가 바로 클로나제팜(Clonazepam)입니다. 국내에서는 리보트릴(Rivotril)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로서 불안 완화, 항경련, 수면 보조 등 여러 목적에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로나제팜(리보트릴)의 작용 원리, 적응증, 복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등을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 😊
💊 클로나제팜이란?
클로나제팜(Clonazepam)은 벤조디아제핀계(BZD)에 속하는 항불안·항경련 약물로, GABA 수용체의 작용을 증가시켜 뇌의 흥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GABA는 뇌를 진정시키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데요, 클로나제팜은 이 작용을 강화해 과도한 불안, 긴장, 발작 등을 진정시켜 줍니다.
✅ 주요 적응증
적응증 | 설명 |
---|---|
간질 및 경련 조절 | 부분 발작, 결신 발작 등 |
공황장애 | 갑작스러운 공포와 불안 완화 |
불안장애 | 긴장, 초조, 불안감 완화 |
수면장애 (비공식 사용) | 불면증, 야간 각성 등 |
근간대성 경련 | 유아, 소아의 간헐적 경련 조절 |
하지불안증후군 | 일부에서 보조 치료제로 사용됨 |
💡 정식 적응증 외에도 정신과·신경과에서 다양한 증상 완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복용법과 용량
환자군 | 시작 용량 | 유지/최대 용량 |
---|---|---|
성인 | 0.25~0.5mg회/일, 1~2회/일 | 최대 4mg/일 (질환별 상이) |
소아 | 체중 기준으로 조절 | 소아 간질에 자주 사용 |
복용 시간 | 주로 취침 전, 또는 증상 발생 시간에 맞춰 복용 |
- 작용 시간은 중간~장시간형(6~12시간 이상)으로, 지속적인 진정 효과가 있습니다.
- 장기 복용 시 내성과 의존성이 생길 수 있어 반드시 의사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 부작용 및 주의사항
부작용 | 설명 |
---|---|
졸림, 집중력 저하 | 가장 흔함. 운전·중요 업무 시 주의 |
어지럼, 비틀거림 | 고령자에서 낙상 위험 증가 가능 |
기억력 저하 | 장기 복용 시 단기기억력 감소 가능성 있음 |
의존성 및 금단 증상 | 수 주 이상 복용 후 갑작스런 중단 시 발생 가능 |
호흡억제 | 고용량·다른 진정제 병용 시 주의 필요 |
❗ 임신부, 수유부, 고령자, 간 기능 저하자는 복용 전 반드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클로나제팜과 공황장애
리보트릴은 빠르게 불안을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공황발작 시 급성 증상 조절에 특히 유용합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항우울제(예: SSRI)와 병행하면서 서서히 감량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입니다.
⛔ 금단 증상에 주의하세요
벤조디아제핀은 장기 복용 시 심리적, 신체적 의존성이 생길 수 있으며, 갑작스러운 중단은 다음과 같은 금단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불안, 초조, 불면
- 손 떨림, 발한
- 심한 경우 발작, 환각
🚨 금단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천천히 감량하면서 중단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예: 주 0.25mg 감량 등)
❓ 자주 묻는 질문 (Q&A)
Q1. 리보트릴은 수면제인가요?
A1. 수면 유도 효과가 있지만, 본래는 항경련·항불안제입니다. 수면제로 사용 시에는 단기간 복용이 원칙입니다.
Q2. 얼마나 오래 복용할 수 있나요?
A2. 단기간(수 주~수 개월) 복용이 원칙이며, 장기 복용 시 의존성 및 부작용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Q3. 갑자기 끊으면 안 되나요?
A3. 절대 안 됩니다. 금단 증상이 심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점진적으로 감량해야 합니다.
Q4. 졸음이 심해요. 복용 시간 조절이 가능할까요?
A4. 대부분 취침 전 복용을 권장합니다. 낮 시간 졸음이 문제될 경우 복용량 조정이 필요합니다.
Q5. 다른 약과 함께 먹어도 되나요?
A5. 다른 진정제(예: 졸피뎀, 술)와 병용 시 호흡억제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참고 문헌: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BZD 사용 가이드라인 (2024)
- FDA Clonazepam Drug Label (Updated 2023)
- Journal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2022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리피프라졸(아빌리파이): 균형을 맞추는 스마트 항정신병제 (0) | 2025.06.13 |
---|---|
쿠에티아핀(쎄로켈): 수면에서 조증까지, 다용도로 쓰이는 비정형 항정신병제 (0) | 2025.06.13 |
둘록세틴(심발타): 통증과 우울,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항우울제 (1) | 2025.06.13 |
벤라팍신(이펙사): 우울과 불안, 두 가지에 효과적인 듀얼 작용 항우울제 (1) | 2025.06.13 |
설트랄린(졸로프트): 불안과 우울을 이겨내는 부드러운 동행 (0)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