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3 14

MRAB(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에 효과적인 항생제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MRAB,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는 중환자실(ICU) 및 병원 내 감염에서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는 병원균입니다. 카바페넴 내성을 포함한 광범위한 항생제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RAB 감염에 효과적인 항생제와 치료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 MRAB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MRAB는 베타락탐계, 퀴놀론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제한적인 항생제 옵션이 존재합니다. 카바페넴 내성(MDR-AB, CRAB)이 있는 경우 더욱 치료가 어렵습니다.✅ 1. 폴리믹신 계열 (Colistin, Polymyxin B)가장 강력한 MRAB 치료제 중 하나단독 사용보다..

중환자의학 2025.02.23

중환자실에서의 항생제 사용 전략: Escalation과 De-escalation

중환자실(ICU)에서는 패혈증, 폐렴, 요로 감염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신속하게 치료해야 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생명을 구하는 핵심 요소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내성균 발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최적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 항생제 Escalation(증량)과 De-escalation(감량) 전략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환자실에서 항생제 사용 원칙과 Escalation 및 De-escalation의 개념, 적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scalation과 De-escalation이란? 전략 개념 주요 목적 Escalation (에스컬레이션)초기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여 감염을 신속히 조절패혈증 등 중증 감염에서 빠른 치료로 생존율 향상De-escalation (디에스컬레이션..

중환자의학 2025.02.23

신장 기능 평가: 크레아티닌(Creatinine) vs. 시스타틴 C(Cystatin C)

신장은 우리 몸에서 혈액을 걸러 노폐물을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가 크레아티닌(Creatinine)과 시스타틴 C(Cystatin C)입니다. 두 마커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지만,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크레아티닌과 시스타틴 C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각각의 적응증(사용되는 상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크레아티닌(Creatinine)과 시스타틴 C(Cystatin C)의 공통점1️⃣ 신장 기능을 반영하는 지표두 마커 모두 신장에서 배설되며, 사구체 여과율(GFR, Glomerular Filtration Rate)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혈중 농도가 높아지면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합니다.2️⃣ 혈액검사로 ..

의학 지식 2025.02.23

SCI, SCI(E) 논문이란? 연구자라면 꼭 알아야 할 차이점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연구 논문을 발표하는 것은 연구자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특히 SCI(Science Citation Index)와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 논문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둘의 차이점을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CI와 SCI(E)의 개념, 차이점, 그리고 논문을 작성하고 게재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SCI와 SCI(E)란?SCI와 SCI(E)는 둘 다 Clarivate Analytics(구 Thomson Reuters)의 Web of Science(WoS)에서 관리하는 국제 학술 논문 인용 색인(Database)입니다. 쉽게 말해,..

의학 지식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