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IHSS는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결손 정도를 평가하는 척도입니다.
✅ 모든 항목을 평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특정 항목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때, 점수 부여 원칙은 "신체적 장애 vs. 신경학적 결손"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NIHSS 항목별 실행 불가능 시 점수 부여 기준
NIHSS 항목 | 설명 | 실행 불가능한 경우 | 점수 부여 원칙 |
1a. 의식 상태(LOC) | 환자의 반응 수준 평가 | 혼수(coma), 무반응 | 최대 점수(3점) |
1b. 의식 질문(LOC Questions) | 나이, 월 이름 대답 가능 여부 | 무반응, 삽관(intubation) 상태 | 최대 점수(2점) |
1c. 의식 명령(LOC Commands) | 눈 감기, 손 움켜쥐기 수행 | 혼수, 완전 마비 | 최대 점수(2점) |
2. 시야(Visual Fields) | 시야 결손 평가 | 양안 실명, 무반응 | 최대 점수(3점) |
3. 안구 운동(Eye Movement) | 수직/수평 안구 운동 장애 평가 | Guillain-Barré, 근무력증, 혼수 | 0점 (신체적 장애), 2점 (혼수 시 최대 점수) |
4. 얼굴 마비(Facial Palsy) | 얼굴 움직임 평가 | 선천적 안면마비, 벨마비 | 0점 (선천적 장애), 최대 3점 (혼수 시) |
5a. 좌측 상지 운동(Left Arm Motor) | 팔을 들어 유지 가능 여부 | 사지 절단 | 0점 |
5b. 우측 상지 운동(Right Arm Motor) | 팔을 들어 유지 가능 여부 | 사지 절단 | 0점 |
6a. 좌측 하지 운동(Left Leg Motor) | 다리를 들어 유지 가능 여부 | 하지 절단 | 0점 |
6b. 우측 하지 운동(Right Leg Motor) | 다리를 들어 유지 가능 여부 | 하지 절단 | 0점 |
7. 실조증(Limb Ataxia) | 손가락-코, 발꿈치-정강이 검사 | 사지 절단, 중증 마비 | 0점 |
8. 감각(Sensory) | 촉각 또는 통증 자극 반응 평가 | 혼수, 척수 손상으로 인한 감각 소실 | 최대 점수(2점) |
9. 실어증(Language) | 그림 설명, 문장 읽기, 글쓰기 가능 여부 | 인공호흡기 삽관(intubation) 상태 | 최대 점수(3점) |
10. 조음(Dysarthria) | 말 명료도 평가 | 기관절개(tracheostomy), 삽관 | 최대 점수(2점) |
11. 무시(Neglect/Inattention) | 반측 공간 무시(Hemispatial Neglect) 평가 | 혼수 상태 | 최대 점수(2점) |
📢 💡 신체적 장애로 수행 불가능한 경우 0점, 신경학적 결손(혼수, 삽관 등)으로 불가능한 경우 최대 점수 적용!
🔹 NIHSS 전체 항목 평가 불가능한 경우 (혼수 상태 또는 심각한 뇌손상)
✅ 환자가 깊은 혼수(coma) 상태로 NIHSS의 모든 항목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최대 점수(42점)를 부여!
- NIHSS의 모든 항목에서 최악의 점수를 받는 경우, 총점은 42점(최대 중증도)
- 뇌사 또는 광범위한 뇌손상(Total Brain Infarction, TBI) 환자에서 가능
✅ 사지 절단, 선천적 장애 등으로 일부 항목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 수행 불가능한 항목은 0점으로 처리하며, 나머지 항목에서 점수를 계산!
📢 💡 점수 계산 오류를 피하려면, 실행 불가능한 원인을 정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
🔹 결론
📢 NIHSS에서 특정 항목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원인에 따라 점수 부여 원칙이 다릅니다.
📢 신체적 한계(절단, 선천적 기형)로 인해 불가능한 경우 0점, 신경학적 이유(혼수, 삽관)로 불가능한 경우 최대 점수 적용!
📢 혼수 상태로 모든 항목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NIHSS 42점(최대 중증도)으로 평가!
✅ ➡️ "올바른 점수 부여로 뇌경색 중증도를 정확히 평가하세요!" 🚑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생제 사용의 지표: Procalcitonin(PCT) (0) | 2025.02.24 |
---|---|
항생제별 희석액(MIX 용액) 가이드 + 사용 금지 이유 정리 (0) | 2025.02.23 |
Aspirin 투여 시 H₂-Blocker & PPI 병용 이유 (0) | 2025.02.23 |
특발성 폐섬유증(IP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치료 (0) | 2025.02.23 |
신장 기능 평가: 크레아티닌(Creatinine) vs. 시스타틴 C(Cystatin C)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