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Meropenem의 치료 기간, 얼마나 써야 할까요?

비비닥 2025. 5. 4. 15:41
반응형

Meropenem은 강력한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로, 주로 중증 감염이나 다제내성균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탄페넴계 항생제 중 하나로,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혐기성균까지 폭넓게 커버하는 능력이 있어 중환자실(ICU)에서 자주 처방됩니다. 그러나 치료 효과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적절한 치료 기간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너무 짧으면 치료 실패, 너무 길면 내성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Meropenem의 권장 치료 기간은 얼마일까요? 🦠💉


📅 일반적인 Meropenem 치료 기간 가이드

감염 종류에 따라 권장 치료 기간은 다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감염에 대한 Meropenem 사용 권장 기간입니다:

감염 질환 권장 치료 기간 비고
복강내 감염 4~7일 수술 또는 배액 병행 시 단축 가능
요로감염 (복잡성) 5~10일 신우신염 포함
폐렴 (병원 획득 또는 기계환기 관련) 7~8일 임상 호전 시 단축 가능
균혈증 7~14일 원발 감염원에 따라 다름
뇌수막염 10~14일 Gram(-)균 감염 시 더 길게 필요
피부 및 연조직 감염 5~10일 괴사성 감염 시 연장 필요
다제내성균(MDR) 감염 최소 10~14일 임상 반응 따라 조절 필요

📌 최근 IDSA(미국감염학회)와 ESCMID(유럽감염학회) 가이드라인은 감염이 잘 조절되는 경우 짧은 항생제 치료(5~7일)도 안전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치료 기간 결정 시 고려할 점

  1. 임상 호전 속도
    • 발열 해소, WBC 감소, CRP 정상화 여부에 따라 단축 가능
  2. 원인균과 감수성
    • 감수성 확인 후 de-escalation(하향 조정) 가능
  3. 감염 부위
    • 뇌, 심장, 뼈 등은 항생제가 도달하기 어려워 치료 기간이 길어집니다
  4. 면역 상태
    • 면역저하자는 감염 소멸이 늦어져 연장 치료 필요할 수 있음

🧪 실제 사례 예시

한 65세 COPD 환자가 병원 내 폐렴으로 입원해 Meropenem을 사용했습니다. 입원 당시 고열과 호흡곤란이 있었지만, 치료 3일 차부터 호전되기 시작했고, 6일 차에는 CRP도 정상화되었습니다. 감염내과 협진 결과, 총 7일간의 치료로 종료하였으며 재발 없이 퇴원하였습니다.
👉 이처럼 임상 반응에 따라 치료 기간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너무 긴 치료의 위험성

  • 항생제 내성 증가: CRE(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 발생 가능
  • 신장 독성 및 간기능 이상
  • 장내 정상균총 파괴 →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 위험 증가

Q&A

Q1. Meropenem은 최소 며칠 써야 효과가 있나요?
A1. 감염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5일 이내에 효과가 없으면 원인균 재확인 필요합니다.

Q2. 열이 떨어졌으면 바로 끊어도 되나요?
A2. 아닙니다. 임상적 호전 외에도 염증 수치와 병원체 정보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Q3. 혈액배양에서 균이 없어졌다면 중단 가능한가요?
A3. 원발 병소가 제거되었고 환자 상태가 안정적이면 조기 중단 가능합니다.

Q4. 경구 항생제로 전환 가능한가요?
A4. 일부 감염(요로감염, 복강내 감염 등)에서는 가능하지만, 폐렴이나 중증 감염은 IV 유지가 원칙입니다.

Q5. Meropenem 장기 사용의 최대 기간은?
A5. 일반적으로 14일을 초과하지 않으며, 2주 이상은 감염내과 전문의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