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루빈은 간에서 생성되는 노폐물로, 간 기능이 정상이라면 대부분 담즙을 통해 배출됩니다. 그러나 간부전, 담도 폐쇄, 용혈성 질환 등의 상황에서는 혈액 내 빌리루빈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해 심한 황달과 함께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때 환자의 상태가 위중하고 내과적 치료에 반응이 없을 경우, 직접적으로 빌리루빈을 제거하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가장 효과적인 방법: 플라스마 교환술 (TPE, Therapeutic Plasma Exchange)
✅ 개요
플라스마 교환술은 혈액에서 혈장(Plasma)만 제거하고, 이를 알부민 또는 신선동결혈장(FFP)으로 대체하는 치료입니다. 혈장 속에 녹아 있는 빌리루빈, 암모니아, 사이토카인, 면역복합체 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왜 플라스마 교환이 효과적인가요?
빌리루빈은 대부분 알부민과 결합되어 혈액 내에 존재합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투석(HD, CRRT)은 수용성 물질 제거에 특화되어 있어 빌리루빈 제거에는 거의 효과가 없습니다. 반면, TPE는 결합형 빌리루빈까지 제거할 수 있어 빌리루빈을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연구 근거
- EASL (2023): 급성 간부전 또는 고빌리루빈혈증 환자에서 TPE는 생존율 향상과 간이식까지의 버팀 치료로 유용함.
- NEJM 2016; Jalan et al.: 고강도 TPE를 받은 급성 간부전 환자군에서 28일 생존률 증가 보고.
🔄 빌리루빈 제거 방법 비교
방법 | 제거 가능 물질 | 빌리루빈 제거 효과 | 설명 |
---|---|---|---|
플라스마 교환술 (TPE) | 단백결합 독소, 면역물질 | ⭐️ 매우 효과적 | 고빌리루빈, 암모니아 동시 제거 |
CRRT (지속적 신대체요법) | 수용성 물질 (요소, 크레아티닌) | ❌ 미미함 | 간부전 환자에서 보조적 역할 |
혈액투석(HD) | 저분자 수용성 물질 | ❌ 효과 없음 | 빌리루빈과 결합된 물질 제거 불가 |
약물요법 | 간 보호, 담즙 배출 촉진 | ⭕️ 간접적 도움 | 실질적인 제거보다는 보조적 역할 |
🧪 TPE의 진행 방법 요약
- 중심정맥관을 통해 혈액 채취
- 기계적으로 혈장 분리
- 제거된 혈장을 알부민/FFP로 대체
- 2
3시간 소요, 12일 간격 반복 시행 가능
⚠️ TPE의 제한점
- 일시적 효과이며, 근본 원인이 해결되지 않으면 재상승
- 혈액응고 장애, 감염, 저혈압 등의 합병증 가능성
- 간이식이 가능한 경우라면, TPE는 다리 역할로 시행
Q&A: 자주 묻는 질문
Q1. 플라스마 교환술은 어떤 환자에게 시행하나요?
A1. 급성 간부전, 빌리루빈 >20 mg/dL 이상, 뇌병증, 응고장애 동반 시 고려합니다.
Q2. 일반 투석으로는 빌리루빈이 안 빠지나요?
A2. 아닙니다. 대부분의 빌리루빈은 알부민과 결합되어 있어 투석 효과가 거의 없습니다.
Q3. TPE는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A3. 환자의 상태에 따라 1~2일 간격으로 2~5회까지 시행할 수 있습니다.
Q4. 부작용은 없나요?
A4. 저칼슘혈증, 감염, 출혈 경향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Q5. TPE 후 황달이 사라지면 치료가 끝난 건가요?
A5. 아닙니다. 근본 원인(간질환, 담도 폐쇄 등) 치료 없이는 재상승할 수 있습니다.
'의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신증후군(Hepatorenal Syndrome)이란? 왜 발생할까요? (0) | 2025.05.05 |
---|---|
간부전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과 심한 황달,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0) | 2025.05.05 |
PICC가 다른 중심정맥관에 비해 감염이 덜 일어나는 이유는? (0) | 2025.05.05 |
신기능이 나쁜 환자의 DVT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5.05.04 |
TPN 1L에 Regular Insulin은 몇 단위 넣어야 할까요?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