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중환자실 약물: 디곡신(Digoxin) 알아보기

비비닥 2025. 3. 4. 10:08
반응형

디곡신(Digoxin)이란?

디곡신(Digoxin)은 심부전(Heart failure)과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과 같은 심장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강심제입니다. 디기탈리스(foxglove) 식물에서 추출된 약물로,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수를 조절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디곡신은 중환자실(ICU)에서 심박출량 증가와 심장 리듬 조절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중환자실 약물: 디곡신(Digoxin) 알아보기


디곡신의 작용 기전 🧬

디곡신은 다음과 같은 기전을 통해 심장 기능을 개선합니다:

  1. 나트륨-칼륨 ATPase 억제
    • 세포막의 나트륨-칼륨 펌프를 억제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 증가된 칼슘은 심근 수축력을 강화(Positive inotropic effect)합니다.
  2. 부교감신경 자극(미주신경 자극)
    • 심박수를 감소시키고 방실결절(AV node)의 전도를 늦춰 항부정맥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디곡신은 심장의 수축력 강화심박수 감소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디곡신의 적응증 🚑

디곡신은 다음과 같은 질환에 주로 사용됩니다:

  • 심부전(Heart failure): 심근 수축력을 강화하여 심박출량을 증가시킵니다.
  •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심박수를 조절하고 방실결절의 전도를 늦춰 심장 리듬을 정상화합니다.
  • 심방조동(Atrial flutter): 심장의 빠른 리듬을 조절합니다.

디곡신의 투여 방법 및 용량 💉

디곡신은 경구(PO)정맥주사(IV)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중환자실에서는 주로 정맥주사로 급성기 치료를 시작합니다.

  1. 부하 용량(Loading dose)
    • 성인: 0.5~1mgIV로 나누어 투여합니다(6~12시간 간격으로 분할 투여).
  2. 유지 용량(Maintenance dose)
    • 경구: 0.125~0.25mg을 하루 1회 투여합니다.
    • 투여 용량은 환자의 신장 기능 및 나이, 체중에 따라 조절됩니다.

 


디곡신 사용 시 주의사항 ⚠️

  1. 혈중 농도 모니터링
    • 디곡신은 **치료 범위(0.8~2.0 ng/mL)**가 좁기 때문에 혈중 농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2. 신기능 평가
    • 디곡신은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 축적 위험이 있습니다.
  3. 전해질 불균형 주의
    • 특히 저칼륨혈증(hypokalemia) 상태에서 디곡신 독성 위험이 증가하므로 칼륨 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4. 부정맥 위험
    • 디곡신은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심전도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5. 고령 환자 주의
    • 고령 환자는 디곡신 독성에 더 민감하므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디곡신의 주요 부작용 🚨

  • 부정맥(Arrhythmia): 심실성 빈맥, 심실세동 등 발생 가능
  • 소화기 증상: 오심, 구토, 식욕부진
  • 시각 장애(Visual disturbances): 황록색 시야, 복시(diplopia)
  • 피로 및 현기증
  • 디곡신 중독(Digoxin toxicity): 심각한 경우 심장정지 가능성

디곡신 중독의 증상 및 치료 🌡️

  1. 중독 증상
    • 심각한 부정맥, 구토, 황록색 시야, 현기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치료 방법
    • **디곡신 해독제(Digoxin-specific antibody, Digibind)**를 사용합니다.
    • 전해질 균형 교정(특히 칼륨 보충)이 필요합니다.

디곡신과 관련된 기타 약물 비교 🩺

약물명 주요 작용 기전 적응증 주요 부작용
디곡신 나트륨-칼륨 ATPase 억제 심부전, 심방세동 부정맥, 시각장애, 구토
아미오다론 K+, Na+ 차단 심실성/심방성 부정맥 갑상선 이상, 폐섬유화
베타차단제 β 수용체 차단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서맥, 저혈압
베라파밀 Ca2+ 채널 차단 심방성 부정맥 저혈압, 서맥

Q&A 📌

  1. 디곡신은 언제 사용되나요?
    • 주로 심부전 환자의 심박출량 증가 및 심방세동 환자의 심박수 조절에 사용됩니다.
  2. 디곡신 투여 시 가장 중요한 모니터링 지표는 무엇인가요?
    • 혈중 농도(0.8~2.0 ng/mL), 심전도, 신기능, 전해질(특히 칼륨)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3. 디곡신의 주요 부작용은 무엇인가요?
    • 부정맥, 시각장애, 오심, 구토 등이 있습니다.
  4. 디곡신 중독의 증상은 어떻게 나타나나요?
    • 심각한 부정맥, 황록색 시야, 구토, 피로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디곡신과 아미오다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디곡신은 심부전과 심박수 조절에 중점을 두며, 아미오다론은 심실성/심방성 부정맥에 사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