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의학

PO₂ 조절의 중요성과 산소 독성(Oxygen Toxicity)

비비닥 2025. 2. 23. 07:14

산소(O₂)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지만, 과도한 산소 공급은 오히려 독성이 될 수 있습니다.
산소 독성(O₂ Toxicity)은 높은 분압의 산소(PO₂)를 장기간 흡입할 때 발생하는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의미합니다.
특히 중환자실(ICU) 환자에서 산소 치료 시 PO₂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PO₂ 조절의 중요성과 산소 독성(Oxygen Toxicity)


🔹 PO₂(산소 분압) 조절의 중요성

PO₂(PaO₂, 동맥혈 산소 분압)는 폐에서 산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공급받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산소 치료 시 PaO₂ 목표 범위를 벗어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O₂ 상태 결과
저산소증 (Hypoxia, PaO₂ < 60 mmHg) 조직 저산소증 → 다장기 부전(MOF) 위험 증가
정상 (PaO₂ 80~100 mmHg) 적절한 산소 공급 유지
과산소증 (Hyperoxia, PaO₂ > 120 mmHg 지속) 산소 독성(O₂ toxicity) 발생 가능

📢 💡 산소 치료 시 PO₂를 과도하게 높이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며, 적절한 범위(80~100 mmHg)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


🔹 산소 독성(Oxygen Toxicity)이란?

산소 독성은 높은 농도의 산소(>60% FiO₂)를 장기간 흡입할 경우 발생하는 폐 및 신경계 손상을 의미합니다.
이때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가 과도하게 생성되어 조직을 손상시킵니다.

산소 독성의 주요 기전
1️⃣ 활성산소(ROS) 생성 증가 → 세포막, 단백질, DNA 손상
2️⃣ 폐포-모세혈관 손상 → 폐렴, 폐부종 유발
3️⃣ 뇌, 망막, 신경 조직 손상 → 신경 독성 유발


🔹 산소 독성(O₂ Toxicity)의 유형 및 증상

유형 특징 주요 증상
폐 산소 독성 (Pulmonary O₂ Toxicity) FiO₂ > 60%를 24~48시간 이상 유지할 때 발생 폐포 손상 → 폐부종, 기침, 호흡곤란
신경 독성 (CNS O₂ Toxicity) PO₂ > 500 mmHg (Hyperbaric O₂ Therapy)에서 발생 두통, 어지러움, 경련(Seizure)
망막 산소 독성 (ROP, Retinopathy of Prematurity) 미숙아에서 고농도 산소 투여 시 발생 신생아 망막증 → 실명 가능

📢 "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좋다고 생각하면 위험!" 적절한 목표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


🔹 폐 산소 독성(Pulmonary Oxygen Toxicity) 기전

📌 FiO₂ > 60%를 24~48시간 이상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변화가 발생:
1️⃣ 폐포 상피세포 손상 → 폐포-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2️⃣ 폐부종 발생 → 저산소증 악화 (Paradoxical Hypoxemia)
3️⃣ 서페액턴트 감소 → 무기폐(Atelectasis) 유발
4️⃣ 폐 섬유화 진행 → 폐기능 영구적 손상(IPF 유사 패턴)

💡 결과적으로, 과도한 산소 공급이 오히려 폐기능을 저하시켜 저산소증을 악화시킬 수 있음!


🔹 신경 독성(CNS Oxygen Toxicity) 기전

📌 고압 산소 치료(Hyperbaric Oxygen Therapy, PO₂ > 500 mmHg)에서 발생
1️⃣ 활성산소(ROS) 생성 증가 → 신경세포 손상
2️⃣ 칼슘 이온 증가 → 신경 세포 과흥분 (Excitotoxicity)
3️⃣ 경련(Seizure), 의식 저하, 어지러움 유발

💡 "고압 산소 치료(HBOT) 시 경련 위험이 있어 PO₂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함!"


🔹 산소 독성(O₂ Toxicity) 예방 및 치료

1. PO₂ 목표 범위 유지

  • PaO₂ 80~100 mmHg 유지
  • FiO₂ 60% 이상 사용 시 24~48시간 이내 감량 고려

2. FiO₂ 최소화 (Titrate FiO₂ down ASAP)

  • 목표 SpO₂: 8894% (COPD 환자: 8892%)
  • 낮출 수 있으면 가능한 낮게 조절 (FiO₂ < 60% 유지)

3. 고유량 산소 요법(High-flow Oxygen Therapy, HFNC) 또는 PEEP 적용

  • FiO₂를 낮추면서도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방법
  • 인공호흡기 사용 시 PEEP 5~10 cmH₂O 유지

4. 스테로이드(필요한 경우) 사용 고려

  • 폐 손상이 심한 경우 항염증 효과 기대 가능

5. 고압 산소 치료(HBOT) 시 경련 예방

  • 신경 독성 위험이 있는 경우 PO₂ 400 mmHg 이하 유지

🔹 결론

📢 "산소는 생명을 유지하는 필수 요소이지만, 과도한 산소는 독이 될 수 있다!"
1️⃣ 산소 독성을 예방하려면 PO₂(80~100 mmHg)와 FiO₂(60% 이하)를 유지해야 함
2️⃣ FiO₂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도 저산소증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
3️⃣ 산소 독성(폐 손상, 신경 독성, 미숙아 망막증) 예방을 위해 신중한 산소 치료 전략 필요

➡️ 적절한 PO₂ 유지가 환자의 예후를 결정한다! 🚑